본문 바로가기

Deploy7

[AWS] EC2 SSH 접속 시 사용하는 개인키(.pem)에 대한 권한 설정 EC2에 SSH 접속 시 AWS에서 다운로드받은 pem키를 그대로 사용하면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아래 명령어를 통해 파일의 권한을 변경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hmod 400 .pem chmod는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잇따라 입력하는 세자리 수는 세부적인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각 자리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파일 소유자][그룹 사용자][모든 사용자] 각 자리에 들어가는 숫자는 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ecute)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에 할당된 값은 4, 2, 1이다. 예를 들어, 읽기와 쓰기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려면 4 + 2 = 6이 된다. 따라서 chmod 400의 의미는 "파일 소유자에 대해 읽.. 2023. 6. 2.
[Linux] VIM Editor 명령어 정리 1. VIM의 네 가지 모드 명령(일반) 모드(Command Mode) : 처음 vim을 실행했을 때 설정되어 있는 기본 모드. 입력 모드 / 마지막 행 모드에서 esc 입력 시 이 모드로 돌아온다. 입력 모드(Insert Mode) : 파일에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드. 명령 모드에서 'i'나 'a'를 입력하여 진입. 마지막 행 모드(Last Line Mode) : 파일의 저장 / 종료. 명령 모드에서 ':'을 입력하여 진입. Visual Mode : 블럭 단위로 복사 / 붙이기. 명령 모드에서 'v'를 입력하여 진입. 2. 기능별 명령어 내용 입력 i : 현재 커서 위치에서 편집모드 시작 a : 현재 커서의 바로 다음 위치에서 편집모드 시작 내용 삭제 x : 커서 위치의 한 문자를 삭제(일반 모드).. 2023. 2. 6.
[Linux] 프로세스 제어 명령어 정리 1. 프로세스 상태 확인 - ps 사용법 $ ps [option] 옵션 flags descrpition -a 데몬 프로세스처럼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은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 -u 프로세스 소유자에 대한 상세 정보 출력 -x 데몬 프로세스처럼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출력 본래 ps 명령은 현재 쉘에서 실행한 프로세스들만 출력하기 때문에 이 옵션을 사용하기도 함 -e 커널 프로세스를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 출력 -f full format으로 출력. UID, PID, PPID 등이 함께 출력된다. -e 옵션과 연계하여 주로 사용 (Ex. ps -ef | grep '프로세스명') 2. 프로세스 죽이기 - kill 사용법 $ kill % '작업번호' $ kill 'PID' 옵션 프로세스 강제 종료 옵션: .. 2023.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