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9 [Network] 동기와 비동기 개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에는 동기와 비동기 방식이 있습니다. 각각의 특성을 알아보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동기(synchronous) 먼저 동기는 데이터의 요청과 결과 반환이 동시에 일어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의문점이 생겼는데, 요청에 따른 결과를 반환하기 위해 처리 시간이 필요할텐데 어떻게 요청과 응답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인지 잘 와닿지 않았습니다. 이를 가능하게 만드는 방식은 요청을 보낸 뒤 응답이 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었습니다. 응답을 기다리는 동안 클라이언트는 다른 작업을 하지 못한 채 응답만을 기다리는 상태로 대기하게 됩니다. 비유하자면 상사의 결정을 기다리는 다소 수동적인 부하직원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정리 - 장점 : 설계가 간단하다. - 단점: 요청에 대한 응답.. 2023. 8. 22. [OS] 가상 메모리 메모리란?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코드를 저장하는 장치 메모리의 종류 주기억 장치: RAM, register, cache memory 보조기억 장치: SSD, HDD 가상 메모리의 필요성 기존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 전체가 메모리에 로드되어야 했기 때문에, 메모리(RAM)의 용량은 가장 큰 애플리케이션의 용량보다 커야했다. 하지만 메모리의 접근은 순차적이고 지역화되어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체를 로드하여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었다. 가상 메모리는 이러한 물리적 메모리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부분만 메모리에 로드하고 나머지는 보조기억장치(디스크)에 두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보다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프로그.. 2023. 8. 16. [Network] HTTP와 HTTPS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이다. *프로토콜 : 컴퓨터 간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이다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전송 과정에서 따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기에 데이터가 탈취되었을 시 보안 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HTTPS 이다.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기존 HTTP는 전송계층의 TCP 위에서 동작하는데, 여기서 SSL(Secure Sockets Layer)이라는 보안계층이 전송계층 위에 올라가 동작하게 된다. 그래서 이를 SSL 암호화 통신 이라고.. 2023. 8. 8. [OS]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Process)란?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각 프로세스는 독립된 메모리 영역(Code, Data, Stack, Heap)을 할당받는다. 서로 다른 프로세스는 각각 개별적으로 실행되므로 서로의 데이터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에 접근하려면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활용해야 한다. 프로세스는 1개 이상의 스레드를 가지고 있다. 프로세스 구조 Code: 프로그램 코드가 CPU가 해석 가능한 기계어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Data: 전역 변수, 클래스 변수, 상수 등이 저장되어 있다. Stack: 함수 호출 시 할당되는 공간으로 함수 종료 시 소멸된다. 함수 내의 내역 변수 또한 저장된다. Heap: 동적으로 할당되.. 2023. 8. 3. 이전 1 2 3 다음